맨위로가기

아소 (장갑순양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소는 러시아 제국 해군이 프랑스에 주문하여 건조한 장갑순양함으로,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 제1태평양 함대에 배속되어 활동했다. 1904년 12월 9일 여순항에서 침몰한 후, 일본 해군에 의해 인양되어 아소로 개명되었다. 이후 훈련함, 기뢰 부설함으로 개조되어 사용되다가, 1931년 해군 목록에서 삭제되었고, 1932년 묘코형 중순양함의 표적으로 사용되어 침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0년 선박 - 미카사 (전함)
    미카사는 러일 전쟁에서 활약한 일본 제국 해군의 전함으로, 쓰시마 해전에서 발트 함대를 격파하는 데 기여했으며 현재 요코스카에 기념함으로 보존되어 있는 세계 유일의 현존하는 전드레드노트급 전함이다.
  • 1900년 선박 - 러시아 전함 타우리스 공작 포툠킨
    러시아 전함 타우리스 공작 포툠킨은 1897년 건조를 시작해 1905년 완공된 러시아 제국 해군 소속 전함으로, 당시 가장 강력한 함선으로 평가받았으며 1905년 선원 반란, 함명 변경,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등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 일본의 장갑순양함 - 가스가 (장갑순양함)
    일본 제국 해군의 장갑순양함 가스가는 아르헨티나 해군이 발주한 주세페 가리발디급 장갑순양함이었으나 러일 전쟁 직전 일본이 구매하여 취역,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시베리아 간섭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 후 1942년 무장 해제, 부유 막사로 사용되다 1945년 요코스카 공습으로 침몰했다.
  • 일본의 장갑순양함 - 아사마 (장갑순양함)
    아사마는 일본 제국 해군의 장갑순양함으로, 러일 전쟁의 주요 해전에 참전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했으며, 메이지 천황의 어소함으로도 사용되었다.
  • 침몰한 표적함 - 나가토 (전함)
    나가토는 일본 해군 최초의 41cm 주포 탑재 전함이자 세계 최대급 전함 중 하나였으며, 태평양 전쟁 당시 연합함대 기함으로 활동하다 미군의 핵 실험으로 침몰했다.
  • 침몰한 표적함 - U-234
    U-234는 제2차 세계 대전 말 독일 해군이 운용한 U-보트로, 기뢰 부설 잠수함에서 일본으로 향하는 화물 수송 잠수함으로 개조되어 군사 물자 수송 임무를 수행하려다 종전 후 미 해군에 나포, 조사 후 격침되었다.
아소 (장갑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함선 정보
함명바얀
함명 유래보얀
함종장갑순양함
함급바얀급
정박해 있는 바얀
정박해 있는 바얀
건조 정보
발주1898년 5월
기공1899년 3월
진수1900년 6월 12일
완공1902년 12월
건조 장소소시에떼 누벨르 지중해 조선소, 라센쉬르메르, 프랑스
운용 정보 (러시아)
소속 국가러시아 제국
해군러시아 제국 해군
최후1904년 12월 9일 침몰
운용 정보 (일본)
함명 (일본어)아소 (阿蘇)
함명 유래아소산
획득1905년 1월 1일
취역1905년 8월 22일
재분류1908년, 연습함으로 재분류
1920년 4월 1일, 기뢰 부설함으로 재분류
제적1930년 4월 1일
최후1932년 8월 4일, 표적함으로 침몰
소속 국가일본 제국
해군일본 제국 해군
제원
배수량7,802 톤
전장136.9 미터
전폭17.5 미터
흘수6.7 미터
추진 방식2축, 2 수직 3단 팽창 증기 엔진
동력26 벨르빌 보일러
16,500 마력
속력21 노트
항속 거리10 노트에서 7,200 킬로미터
승무원573명
무장 (바얀)
주포2 × 단장 203mm 45 구경장 1892년형 함포
부포8 × 단장 152mm 45 구경장 1892년형 함포
기타 함포20 × 단장 75mm 50 구경장 1892년형 함포
어뢰 발사관2 × 단장 15인치 어뢰 발사관
무장 (아소)
주포2 × 단장 203mm 함포
부포8 × 단장 152mm 45년식 함포
기타 함포16 × 단장 QF 12파운드 12 cwt 해군포
어뢰 발사관2 × 단장 18인치 어뢰 발사관
장갑
현측 장갑대100–200mm
갑판50mm
포탑160mm
바베트170mm
사령탑160mm

2. 설계 및 제원 (Design and description)

바얀급 장갑순양함은 이전 러시아 장갑순양함과 달리 함대 정찰 임무를 위해 설계되었다.[1] 승무원은 573명의 장교와 사병으로 구성되었다.[2]

2. 1. 함체 및 기관

Баянъ|바얀ru급은 함대를 위한 정찰함으로 설계되었다.[1] 전체 길이는 약 136.86m, 수선 간의 길이는 약 135.03m였다. 최대 선폭은 약 17.37m, 흘수는 약 6.71m였으며, 기준 배수량은 약 7927198.69kg였다.[2]

바얀급은 각각 26개의 벨빌 보일러에서 증기를 공급받아 단일 프로펠러 샤프트를 구동하는 두 개의 수직 3중 팽창 증기 기관을 갖추고 있었다. 을 내도록 설계되었으나,[3] 1902년 10월 해상 시험 동안 의 마력을 내며 최고 속도 에 도달했다. 최대 약 1117651.70kg의 석탄을 적재할 수 있었고, 이는 의 속도로 의 항속 거리를 제공했다.[5]

2. 2. 무장

주 무장은 상부 구조물 앞뒤에 있는 단일 포탑에 장착된 약 20.32cm 45-구경 포 2문으로 구성되었다. 8문의 약 15.24cm 포는 함선 선체 측면에 있는 포곽에 장착되었다.[4] 어뢰정 방어를 위해 20문의 75mm 50구경 포가 제공되었으며, 이 중 8문은 함체 측면과 상부 구조에 있는 포곽에 장착되었다. 나머지 포는 6인치 포 포곽 위에 포좌에 회전식으로 장착되었고 포방패가 있었다. 바얀은 또한 8문의 47mm 및 2문의 37mm 호치키스포를 장착했다. 이 함선은 각 선측에 1문씩 2문의 수중 약 38.10cm 어뢰 발사관을 갖추고 있었다.[5]

2. 3. 장갑

이 함선은 전체적으로 하비 강철을 사용했다. 수선장갑대는 기계 공간 위로 200mm 두께였다. 전후방에서는 100mm로 감소했다. 상부 장갑 스트레이크와 포곽을 보호하는 장갑은 60mm 두께였다. 장갑 갑판의 두께는 50mm였으며, 중앙 포대 위에서는 단일 판이었지만, 다른 곳에서는 30mm 판 위에 두 개의 10mm 판이 덧대어졌다. 포탑 측면은 150mm 두께의 장갑으로 보호되었고, 지붕은 1.2인치 두께였다. 바벳은 170mm 두께의 장갑판으로 보호되었다. 함교 측면은 160mm 두께였다.[6]

3. 러시아 제국 해군 복무 (Construction and career)

''바얀''(Bayan)은 음유시인 보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 러시아 조선소에 여유가 없었기 때문에 1898년 5월 프랑스 라 생쉬르메르에 있는 Forges et Chantiers de la Méditerranée 조선소에 주문해야 했다.[8] 1899년 2월(또는 3월)에 기공되었고, 1900년 6월 12일에 진수되었다.[9] 1903년 2월(또는 4월)에 완성되었으며,[10] 1급 함장 로베르트 비렌의 지휘하에 그리스, 이탈리아, 북아프리카를 방문한 후 크론시타트로 항해했다. 1903년 4월에 도착하여 몇 달 동안 그곳에 있다가 8월 7일에 포트 아서로 출발했다.[12] 프랑스에서 건조된 전함 체사레비치와 함께 ''바얀''은 12월 2일에 도착했고 둘 다 제1태평양 함대에 배속되었다.[13] 이후 러일 전쟁에 참전하게 된다.

3. 1. 러일 전쟁

1904년 2월 8일 밤에서 9일 새벽 사이, 일본 제국 해군은 포트아서에 있는 러시아 함대에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 바얀은 최초 어뢰정 공격에는 피해를 입지 않았고, 다음날 아침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이 지휘하는 연합 함대의 공격에 대응하여 출격했다. 일본 함대는 해안을 순찰하던 방호순양함 보야린에 의해 발견되었고, 보야린은 러시아 방어군에 경고 신호를 보냈다. 도고 제독은 주무장으로 러시아 해안 방어를 공격하고 부무장으로 함선을 공격하기로 결정했으나, 이는 일본군의 포화를 분산시켜 러시아 함선에 큰 피해를 주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전투에서 바얀은 9발의 포탄과 다수의 파편에 맞아 표면적인 피해를 입었으며, 승무원 6명이 사망하고 35명이 부상당했다. 바얀은 8인치 포탄 28발, 6인치 포탄 100발, 75mm 포탄 160발을 발사하며 대응했다.[14] 일본 측 기록에 따르면, 이 전투에서 바얀은 탄약고에 피탄되어 화재가 발생했다.[46]

바얀의 피해는 며칠 만에 수리되었고, 이후 포트아서 밖을 순찰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3. 1. 1. 주요 전투 및 사건

Баян|바얀ru은 1904년 3월 11일, 방호순양함 Новик|노비크ru와 함께 구축함 Стерегущий|스테레구시ru를 지원하기 위해 출격했으나, 일본 구축함의 공격을 받아 스테레구시는 침몰했다.[15]

1904년 4월 13일, 러시아 구축함 스트라스니가 순찰 중 일본 구축함 4척과 조우하여 교전했다. 바얀은 지원을 위해 출격하여 생존자 5명을 구조했지만, 일본 함대의 공격을 받고 퇴각했다. 스테판 마카로프 부제독은 전함 2척과 순양함 3척을 이끌고 바얀을 지원하러 나섰으나, 기함 Петропавловск|페트로파블로프스크ru기뢰에 부딪혀 침몰했다.[16]

1904년 6월 23일, 바얀은 블라디보스토크로 향하려 했으나 일본 함대와 조우 후 퇴각했다.[17]

1904년 7월 27일, 일본 제국 육군 진지를 포격한 후 기뢰에 접촉하여 9월까지 수리했다.[18]

1904년 8월 10일 황해 해전 이후, 빌헬름 비트게프트 소장이 사망하고 로베르트 비렌 소장이 제1태평양 함대 사령관이 되었다.[19]

1904년 12월 9일, 28cm 곡사포 포탄 5발에 맞아 정박지에서 침몰했다.[20] 일본 측 기록에 따르면 12월 8일 10발 피탄 후 화재 및 침수, 다음 날 11인치 포탄 11발 명중 후 좌현으로 기울어 침몰했다고 한다.[64]

4. 일본 제국 해군 복무 (Japanese service)

1905년 1월 1일, 뤼순 요새의 러시아군이 항복하면서, 러일전쟁 중 침몰했던 바얀은 일본군에 의해 인양되었다.[35] 일본 해군은 5월 25일 부양 작업에 착수하여[67][68] 6월 24일에 성공하였다.[67][70] 8월 22일, 바얀은 전리함으로 일본 함적에 편입되어 아소산의 이름을 따 '''아소'''로 개명되었다.[29][72]

아소는 전함 친옌에 예인되어 8월 23일 뤼순(다롄)을 출발, 8월 28일 마이즈루에 도착하여 1908년까지 개조 수리를 받았다.[67][74] 8월 27일에는 1등 순양함으로 분류되었다.[30][75][71]

1909년부터 1911년까지는 연습함대 소속으로 소야(구 바랴크)와 함께 소위 후보생들의 원양 항해에 참여했다.[76]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근해를 초계하는 임무를 맡았다.[76]

1920년 4월 1일, 함정류별 등급 개정에 따라 아소를 포함한 3척(쓰가루, 쇼리키)은 부설함으로 분류 변경되었다.[78][79][80]

1931년 4월 1일, 아소는 제적되었고,[81] 폐함 제4호로 가칭되었다.[84] 이후 런던 군축 조약에 따라 아소의 대체함으로 오키시마가 건조되었다.[80][82]

4. 1. 개조 및 재무장

1905년 6월 24일, 뤼순 요새에서 인양된 러시아 제국 해군의 바얀은 다롄에서 임시 수리를 받은 후, 8월 22일에 '''아소'''(아소산에서 유래)로 취역했다.[20][21] 다음 날, 마이즈루로 예인되어 1908년 7월까지 영구 수리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보일러는 미야바라 수관 보일러로 교체되었고, 대부분의 무기는 일본제 무기로 교체되었다.

''아소''는 2문의 8인치 45구경포, 8문의 6인치 45구경 암스트롱 GG포, 16문의 3인치 40구경 암스트롱 N포로 무장했다.[22] 1913년 3월 개장에서는 8인치 포가 6인치 50구경포 한 쌍으로 교체되었고, 어뢰 발사관은 제거되었다.[24]

1917년, ''아소''는 기뢰 부설함으로 개조되어 420개의 기뢰를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26][22] 1920년 4월 1일, 정식으로 기뢰 부설함으로 재분류되었다.[26]

4. 2. 훈련함 및 제1차 세계 대전

1908년 9월 7일, ''아소''는 이전에 러시아 방호순양함이었던 Соя|소야ru와 함께 훈련 전대에 배속되었다.[23] 1909년 3월 14일부터 8월 7일까지 ''아소''는 해군 사관생도들을 태우고 미국과 캐나다 서해안, 하와이를 거쳐 요코스카로 돌아오는 훈련 항해를 했다.[23] 1910년 2월 1일부터 7월 3일까지는 호주와 동남아시아로 항해했다.[23] 1911년 4월 1일, ''아소''와 ''소야''는 다시 훈련 전대에 합류했고, 11월 25일부터 1912년 3월 28일까지 1910년과 같은 목적지로 사관생도들을 데리고 항해했다.[23]

1914년 12월 1일, ''아소''와 ''소야''는 다시 훈련 전대에 배치되었고, 1915년 4월 20일부터 8월 23일까지 마지막 훈련 항해를 했다.[23] 이 항해 동안 라바울, 뉴기니, 호주의 프리맨틀을 방문했다.[25]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근해 초계 임무를 수행했다.[76]

4. 3. 말년 및 최후

1917년, ''아소''는 기뢰 부설함으로 개조되어[26] 420개의 기뢰를 탑재할 수 있었다[22]. 1920년 4월 1일, 정식으로 기뢰 부설함으로 재분류되었다[26]. 1922년 시베리아 출병 당시 연해주 해역에 출동했다.

1931년 4월 1일, 해군 목록에서 삭제되었고, '제4해간호'로 개명되었다[22]. 1932년 8월 4일, 중순양함 묘코와 나치의 표적으로 사용된 후 두 발의 잠수함 어뢰에 의해 격침되었다[27].

일본 측 기록에 따르면, 1932년 8월 7일 요코스카에 정박해 있던 폐함 4호(아소)는 중순양함 하고로에 예인되어 출항, 8월 8일 도쿄만 외곽에서 묘코, 나치의 포격 및 뇌격 연습 표적이 되어 침몰했다.

5. 함장 (일본 해군)

일본 해군|일본 해군일본어 장갑순양함 아소의 함장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계급취임일퇴임일
이시이 요시타로대좌1907년 10월 15일1909년 10월 1일
사토 테츠타로대좌1909년 10월 1일1910년 9월 26일
카사마 나오시대좌1910년 12월 1일1910년 12월 17일
나카지마 시타로대좌1911년 4월 1일1912년 5월 22일
히로세 준타로대좌1912년 9월 27일1912년 12월 1일
사카키바라 츄자부로대좌1912년 12월 1일1913년 12월 1일
오야마다 나카노죠대좌1913년 12월 1일1915년 10월 1일
아리마 스미이대좌1915년 10월 1일1915년 12월 13일
쿠와지마 쇼조중좌1915년 12월 13일1916년 12월 1일
하나후사 타로대좌1916년 12월 1일1917년 12월 1일
오미 헤이시로대좌1917년 12월 1일1918년 6월 1일
나카가와 히로시대좌1918년 6월 1일1918년 11월 10일
이데 모토하루대좌1918년 11월 10일1919년 11월 20일
코이즈미 치카하루대좌1919년 11월 20일1920년 11월 20일
모리모토 토쿠미대좌1920년 11월 20일1922년 7월 1일
시치다 케이이치대좌1922년 7월 1일1922년 11월 10일
하라 미치히로대좌불명1923년 7월 20일
토쿠다 이노스케대좌1923년 7월 20일1924년 5월 7일
다카하시 산키치대좌1924년 5월 7일1924년 11월 10일
야마구치 노부카즈대좌1924년 11월 10일1925년 11월 20일
畔柳 三男三대좌1925년 11월 20일1926년 11월 15일
키요미야 요시타카대좌1926년 12월 1일1927년 1월 10일



※ 겸임 함장은 윗줄에 이탤릭체로 표기.

참조

[1] 서적 Vinogradov & Fedechkin, p. 4
[2] 서적 McLaughlin, p. 75
[3] 서적 Campbell, p. 190
[4] 서적 Watts, p. 100
[5] 서적 McLaughlin, pp. 68, 75
[6] 서적 McLaughlin, p. 68
[7] 서적 Silverstone, p. 373
[8] 서적 McLaughlin, pp. 60–61, 68
[9] 문서 All dates used in this article are [[Old Style and New Style dates|New Style]]
[10] 서적 Watts, p. 99
[11] 서적 Kowner, p. 409
[12] 서적 McLaughlin, p. 78
[13] 서적 Corbett, I, p. 51
[14] 서적 Vinogradov & Fedechkin, pp. 60–65
[15] 서적 Vinogradov & Fedechkin, p. 68
[16] 서적 Corbett, I, pp. 179–182
[17] 서적 Warner & Warner, pp. 305–306
[18] 서적 Corbett, I, pp. 357, 466
[19] 서적 Corbett, II, pp. 46, 77–78, 103–104
[20] 서적 Lacroix & Wells, p. 656
[21] 서적 Silverstone, p. 326
[22] 서적 Jentschura, Jung & Mickel, p. 76
[23] 서적 Lacroix & Wells, pp. 656–657
[24] 서적 Budzbon, p. 226
[25] 서적 Hirama, p. 142
[26] 서적 Lengerer, p. 52
[27] 서적 Lacroix & Wells, p. 109
[28] 문서 [[#S0706足柄(2)]]p.8『第四戰隊第一小隊 廢艦射撃』
[29]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p.199『◎戰利軍艦相摸肥前命名ノ件 明治三十八年八月二十二日(達一一一)戰利軍艦「ペレスウエート」外四隻左ノ通命名セラル 戰艦「ペレスウエート」 相摸/戰艦「ポルタワ」 丹後/一等巡洋艦「バヤーン」 阿蘇/二等巡洋艦「ワリヤーグ」 宗谷/二等巡洋艦「パルラダ」 津輕』
[30]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p.52『◎明治三十八年八月二十七日(達一一四)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表中戰艦ノ欄一等ノ下「石見」ノ次ニ「相摸、丹後」ヲ、巡洋艦ノ欄一等ノ下「日進」ノ次ニ「阿蘇」ヲ、同二等ノ下「千歳」ノ次ニ「津輕、宗谷」ヲ加フ』
[31] 문서 [[#阿蘇周防津軽丹後肥前相模]]p.2『旅順口港内沈没戰利軍艦破損箇所詳細圖 壹等巡洋艦阿蘇(「バヤーン」)』
[32] 웹사이트 明治末期の軍事支出と財政・金融-戦時・戦後財政と転位効果の考察- https://www.nids.mod[...] 防衛研究所 2023-06-11
[33] 문서 [[#日露戦役海軍写真集(1)]]コマ26『旅順港内の沈没艦引揚後の光景』
[34] 문서 [[#日露戦役海軍写真集(1)]]コマ38『旅順沈没の巡洋艦バヤーン(阿蘇)の排水』
[35] 문서 [[#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p.71『阿蘇(あそ) 艦種巡洋艦二等 二檣(信號用) 艦名考山名なり、肥後國阿蘇嶽に採る、此山は肥後國阿蘇郡の中央に在る活火山なり、標高5,577尺。艦歴舊露國軍艦、原名「バヤーン」、明治33年佛國「ラセーヌ」に於て進水。明治36年12月2日旅順に回航、同37年2月日露開戰後太平洋艦隊として旅順にありて活動し、其の高速力は我が驅逐隊の最も悩む所となる、同37年7月27日機雷に觸れ大損傷を蒙り、以來旅順港内に蟄居し出でず。復た後ち港内に於て破壊沈没、同38年1月1日(旅順の露軍降伏開城の日)我が海軍之が収容引揚に着手、同年8月22日帝國軍艦と定め「阿蘇」と命名。大正3年乃至9年戰役從軍:同9年敷設艦に編入。―要目―(略)起工 /進水 明治33-5-12/竣工 同35/建造所 佛國セーヌ』(註:実際は6月12日進水)
[36] 간행물 進水、命名、艦船籍、類別、等級 pp.19-23 C06091630000 『明治38年8月10日付 海軍大臣官房発行 官房第3040号』
[37] 논문 From Riurik to Riurik
[38] 문서 グレゴリオ暦、以下同じ
[39] 서적 The Imperial Russian Navy
[40] 문서 (艦名)阿蘇|(艦種)敷設艦|長(米)129.79|幅(米)17.55|吃水(米)6.93|排水量(噸)常備7,800/基準7,180|速力(節)22.0|(乗員數)619|(短艇數)11|(製造所)佛國フオルジエーシヤンテー社|(起工年月日)32-3|(進水年月日)33-6|(竣工年月日)(6-1-13改)|主要兵装/(大砲)15c/m 10、8c/m 11|(機銃)2|(發射管)―|(探照燈)4|機械/(種類)直立四段膨張式(數)4|罐(種類)ベルビール式(數)26|(推進器數)2|(備考)- "#海軍制度沿革(巻11、1940)"
[41] 서적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860–1905
[42] 논문 From Riurik to Riurik
[43] 문서 第八章 阿蘇(元「バヤーン」)引揚及ヒ囘航 第一節損害程度及ヒ沈没原因 "#阿蘇引揚及回航"
[44]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5]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6]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7] 서적 日露海戦1905 旅順編
[48]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9]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50]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51]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52]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53]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54]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55]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56]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57]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58]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59]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60]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61]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62]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63]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64]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65] 문서 旅順沈没の巡洋艦バヤーン(阿蘇)の破損状態(其二) 圖は後甲板にて、八尹旋回砲は露人自ら爆發破壊したるもの。又甲板上の大破損は、後部右舷側水線下に於て開城の際露人が自ら加へたる大爆發の爲に生じたる損所なり "#日露戦役海軍写真集(1)"
[66] 문서 東港内ニ爆沈セル巡洋艦「バヤーン」其ノ右舷ヲ望ム "#旅順要塞戦写真"
[67] 문서 五、装甲巡洋艦「バヤーン」(排水量七,八〇〇噸、三十八年五月二十五日大連灣防備隊員ニテ引揚箸手、翌六月二十四日浮揚、同月八月二十二日阿蘇ト命名セラル同月二十日旅順口發、大連灣ニ於テ修理箇所點檢ノ後チ同二十三日出港、同二十八日舞鶴箸、囘航委員長ハ海軍大佐島令次郎、曳航艦ハ鎭遠、通信艦ハ驅逐艦霞ナリ) "#収容艦船概要"
[68] 문서 第二節 引揚作業 "#阿蘇引揚及回航"
[69] 문서 (略)是ニ於テ坂本司令官ハ「バヤーン」引揚事業ノ第一箸手トシテ、其ノ沈入部ヲ潜水工ニ精査セシメタリ(以下略) "#阿蘇引揚及回航"
[70] 간행물 ○戰利艦ノ浮揚 旅順口港内戰利艦ノ浮揚ニ關シ一昨二十四日接手シタル旅順口鎭守府司令長官柴山矢八ノ報告左ノ如シ(海軍省)巡洋艦「バヤーン」(排水量七,七二六 速力二一)本日無滞浮上レリ "https://dl.ndl.go.j[...] 1905-06-26
[71] 문서 阿蘇引揚及回航
[72] 간행물 明治38年 達 完/8月 p.8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73] 문서 阿蘇引揚及回航
[74] 문서 阿蘇引揚及回航
[75] 간행물 明治38年 達 完/8月 p.9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76] 문서 帝国軍艦帖
[77] 문서 写真日本の軍艦第14巻
[78] 간행물 海軍制度沿革(巻8、1940)
[79] 간행물 大正9年 達 完/9月 p.1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0] 문서 日本補助艦艇物語
[81] 간행물 海軍制度沿革(巻8、1940)
[82] 문서 艦船要目公表範囲(昭和16年6月30日)
[83] 간행물 第559号8.2.8廃艦第2号(旧軍艦利根)曳航準備工事の件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4] 간행물 昭和6年4月1日(水)海軍公報(部内限)第992号 p.1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5] 문서 廃船4号曳航準備
[86] 문서 S0707羽黒(1)
[87] 문서 S0706高雄(2)
[88] 간행물 昭和7年8月8日(月)海軍公報 第1651号 pp.29-3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9] 문서 S0706日向(2)
[90] 문서 S0707羽黒(1)
[91] 문서 S0707羽黒(1)
[92] 간행물 昭和19年8月〜9月秘海軍公報9月(1)
[93] 뉴스 官報 1918-06-03
[94] 뉴스 官報 1918-11-12
[95] 뉴스 官報 1922-07-03
[96] 뉴스 官報 1923-07-21
[97] 뉴스 官報 1926-12-02
[98] 뉴스 官報 1927-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